fnctId=bbs,fnctNo=18275 RSS 2.0 14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정신종양학』 심은정(심리학과 교수)공저, 군자출판사(2024) 작성자 박금령 조회수 9 첨부파일 0 정신종양학은 암 환자의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어야 하기 떄문에 다학제 접근이 필수적인 분야이다. 이 교과서는 앞으로 암을 다루는 많은 연구자와 임상가들에게 귀중한 지침서가 될 것이며, 암 환자와 가족 및 의료진들에게 더 나은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국가는 어떤 기록을 남겨야 하는가? 기록평가의 이론과 정책』 설문원(문헌정보학과 교수)공 작성자 박금령 조회수 6 첨부파일 0 국가는 국정과정에서 생산, 접수되는 기록 중에서 보존가치가 있는 것을 선별, 보존함으로써 당대 및 후대의 국민들에게 제공할 의무가 있다. 기록평가(archival appraisal)는 생산된 기록 중 무엇이 남길만한 가치가 있는지 결정하고, 더 나아가 어떤 기록을 만들어야 할지를 통제하는 규범이자 실무이다. 이 책에서는 근대 기록학 출범 이후 전개된 기록평가론을 정리하고, 각국의 평가제도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평가정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디지털 환경에서의 변화하는 흐름과 대응 과제도 함께 제안하였다. 『학술지 공유론』 이수상(문헌정보학과 교수) 공저, 청람(2024) 작성자 박금령 조회수 6 첨부파일 0 학술유통은 학술 연구물의 생산, 출판, 배포 및 접근 이용의 단계로 구성되는 수명주기로 정의가 가능하다. 즉 학술유통은 학술연구성과물의 수명주기와 관련된 시스템이나 과정으로 각 단계에서 연구자, 출판사, 배포자, 이용자 등의 행위자들이 상호작용을 한다.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학술지에 국한한 학술유통을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 『메타데이터의 이해와 적용』 노지현(문헌정보학과 교수) 공저, 청람(2025) 작성자 박금령 조회수 22 첨부파일 0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데이터라는 표현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이 개념은 문헌정보학을 비롯하여 언어학, 컴퓨터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원이 디지털로 생성되고, 정보조직이 수작업 형태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축되다 보니 안타깝게도 마치 컴퓨터 분야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취급되고 있다. 중요한 것은 메타데이터는 아주 오래전부터 사서들이 구축해 왔던 목록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최근의 시맨틱웹과 링크드데이터 환경에서 데이터의 구조화된 기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서는 메타데이터의 기본적인 이해와 실습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관, 맥락, 이용자, 검색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메타데이터 응용프로파일을 기획하고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처음 1 2 3 4 다음 페이지 끝 처음 다음 끝